2025/03 4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10 – 종합 자음표, 종합 모음표, 유형별 음절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종합하여 글자 쓰는 순서와 함께 연습장으로 쓸 수 있도록 종합 자음표와 종함 모음표를 만들었습니다.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음운을 조합하여 초성과 중성, 혹은 초성과 중성과 종성으로 구성된 음절을 정리하여 우리 한글의 특징인 음소문자인 동시에 음절문자라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형별로 음절표도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음절로 조합하여 발음할 수 있지만, 현재 일상 생활에서 쓰지 않는 음절도 있음 유념해 주십시오. 1. 종합 자음표15세기 한글 창제 당시에 발음기관을 상형한 기본적인 자음을 만들고, 발음 위치가 동일한 자음은 기본자음에 획을 더하거나 같은 자음을 나란히 조합하여 계통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자음을 발음하는 위치의 입구에서부터 안쪽 순으로 같은 계통의..

한글 공부 2025.03.30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9 - 음운을 음절로 모아쓰기

한글과 영어 문자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음소문자입니다. 하지만 음운을 모아쓰기 하는 방식에 따라 표기상 차잇점이 있습니다. 영어와의 비교하여 한글의 음운과 음절, 단어의 표기 방법에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내용의 이해에 필요한 단어의 개념을 우선 알아보겠습니다.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하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로서, 음절을 세부적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나눈 분절음운과 고저, 강약, 장단처럼 나눌 수 없는 비분절음운이 있음.음소 – 분절음운(자음, 모음)음절 – 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서, 가장 작은 소리의 덩어리라고 할 수 있음. 1. 영어식 표기1) 음운을 단어 단위로 ‘모아쓰기’영어 문자는 소리를 표기하는 음소문자로서, 음운을 나열하여 단어 단위로 ‘모아쓰기’를 하여 적습니다..

한글 공부 2025.03.22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8 – 한글 모음 만드는 원리와 발음과 쓰는 법

한글의 모음 창제에 담긴 철학적 사상은 정말 놀랍습니다. 동양 철학의 음양 사상과 천지인 삼재 사상의 깊은 사유를 바탕으로 만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입니다. 1. 모음 창제의 사상과 기본 모음1) 음양 사상우주 만물이 음과 양의 조화로 이루어진다는 동양 철학의 근본적인 개념입니다. 이 사상이 한글의 모음에 반영되어 음성모음과 양성모음으로 적절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음과 양의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陰) – 땅, 아래, 안, 왼쪽, 밤, 뒤, 무겁다, 느리다, 차다양(陽) – 하늘, 위, 밖, 오른쪽, 낮, 앞, 가볍다. 빠르다, 따뜻하다 2)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 사상과 기본 모음① 개념과 상징‘하늘과 땅과 사람’이 서로 연결되고 균형을 이룬다는 개념으로, 한글 모음을 만드는 기초가 되..

한글 공부 2025.03.08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7 – 한글 자음의 계통 유형과 자음 쓰는 법

1. 소리나는 위치로 정리한 자음의 계통 유형1) 자음 체계표위의 표는 자음을 ‘소리 나는 위치’와 ‘소리 내는 방법’으로 분류한 현대 국어학자들이 정리한 ‘자음 체계표’입니다. 2) 기본 자음과 그 계통한글의 자음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상형하여 기본 자음을 만들고, 소리 나는 위치에 따라 기본 자음과 같은 자질을 가진 자음은 기본 자음에 획을 더하거나 같은 자음을 옆으로 나란히 조합하여 계통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자음을 발음하는 위치의 입구에서부터 안쪽 순으로 상형한 기본자음과 같은 자질에서 파생된 같은 계통의 자음을 훈민정음 창제 당시와 절충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ㅁ(입술소리) 계통 - ㅂ, ㅃ, ㅍㅅ(잇소리) 계통 - ㅆ, ㅈ, ㅉ, ㅊ(자음 체계표의 붉은 네모칸)ㄴ(혓소리) ..

한글 공부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