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용병서 3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6 – 합용병서로 만든 한글 복합모음 11자

저번 포스팅에서 기본모음 만드는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모음을 합용병서로 조합하여 만든 복합모음 11자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모음 종류1) 상형한 기본모음ㆍ(소멸),   ㅡ,   ㅣ이 중에 ‘ㆍ’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만들어 사용하였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문자입니다.2) 초출자ㅗ,   ㅜ,   ㅏ,   ㅓ3) 재출자ㅛ,   ㅠ,   ㅑ,   ㅕ 2. 합용병서로 만든 복합모음 11자기본모음을 합용병서로 조합하여 만든 ‘복합모음’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기본적으로 이중 혹은 삼중모음이지만, 일부 이중모음은 현대 한국어에서 단모음화 되어 표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이중모음은 강하게 발음하는 ‘음절주음’과 약하게 발음하는 ‘음절부음’의 결합의 ..

한글 공부 2025.02.16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5 – 합용병서로 만든 한글 복합자음(겹받침) 11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용병서(合用竝書)의 방법으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자음을 조합하여 자음군을 만들어 겹받침으로 사용하는 복합 자음 11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합용병서로 만든 복합자음 11자과거의 한국어는 초성에서도 어두 자음군 발음이 가능하여 초성의 표기에 복합자음을 사용하였으나, 오늘날은 더 이상 발음을 하지 않으므로 어두 자음군 표기가 사라지고, 다만 현대 한국어에서 한글맞춤법 규정이 만들어지면서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형태소의 본래 모양을 밝혀 적는 원칙에 따라 받침(종성)에서 자음군(子音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겹받침’이라고 하며 총 11자입니다. 겹받침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 11자 )cf) 쌍받침 – ㄲ, ㅆ 2. 형태로 구분..

한글 공부 2025.02.10

훈민정음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병서법)

세종대왕께서 기본 글자 28자(자음 17+모음 11)를 과학적 원리로 새롭게 만든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그러나 또 다른 훈민정음의 위대함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 문자를 이용한 문자의 확장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록된 문자 운영 방법은, 음소 문자로서 인류의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가 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훈민정음의 다양한 ‘문자 운용법’ 중에서 새롭게 창제한 자음과 모음의 기본 글자를 조합하여 우리말 소리의 표기를 확장하는 '나란히쓰기(병서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竝書法  병서법 ), 이어쓰기(連書法 연서법), 종성법, 붙여 쓰기(附書法 부서법), 성음법, 사성법  1. 나란히 쓰기..

한글 사랑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