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여쓰기 3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10 – 종합 자음표, 종합 모음표, 유형별 음절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종합하여 글자 쓰는 순서와 함께 연습장으로 쓸 수 있도록 종합 자음표와 종함 모음표를 만들었습니다.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음운을 조합하여 초성과 중성, 혹은 초성과 중성과 종성으로 구성된 음절을 정리하여 우리 한글의 특징인 음소문자인 동시에 음절문자라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형별로 음절표도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음절로 조합하여 발음할 수 있지만, 현재 일상 생활에서 쓰지 않는 음절도 있음 유념해 주십시오. 1. 종합 자음표15세기 한글 창제 당시에 발음기관을 상형한 기본적인 자음을 만들고, 발음 위치가 동일한 자음은 기본자음에 획을 더하거나 같은 자음을 나란히 조합하여 계통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자음을 발음하는 위치의 입구에서부터 안쪽 순으로 같은 계통의..

한글 공부 2025.03.30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9 - 음운을 음절로 모아쓰기

한글과 영어 문자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음소문자입니다. 하지만 음운을 모아쓰기 하는 방식에 따라 표기상 차잇점이 있습니다. 영어와의 비교하여 한글의 음운과 음절, 단어의 표기 방법에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내용의 이해에 필요한 단어의 개념을 우선 알아보겠습니다.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하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로서, 음절을 세부적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나눈 분절음운과 고저, 강약, 장단처럼 나눌 수 없는 비분절음운이 있음.음소 – 분절음운(자음, 모음)음절 – 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서, 가장 작은 소리의 덩어리라고 할 수 있음. 1. 영어식 표기1) 음운을 단어 단위로 ‘모아쓰기’영어 문자는 소리를 표기하는 음소문자로서, 음운을 나열하여 단어 단위로 ‘모아쓰기’를 하여 적습니다..

한글 공부 2025.03.22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 모아쓰기(성음법)와 붙여쓰기(부서법)

훈민정음의 위대한 점은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에도 있지만, 문자의 운용법으로 문자를 확장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자 체계의 혁신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혼란스럽고 체계적이지 않은 모양을 가진 국제적인 발음기호를 대체하여 문자 자체가 발음기호와 일치하는 디지털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뛰어난 문자임을 세계인이 인정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은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입니다. 나란히 쓰기(병서법), 이어쓰기(연서법), 종성법, 모아쓰기(성음법), 붙여쓰기(부서법), 사성법 이번 포스팅은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중에서 저번에 포스팅한 종성법과 더불어, 영어처럼 음소문자이면서도 음절문자로 기능할 수 있게 만든 원리인 모아쓰기(성음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

한글 사랑 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