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23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 모아쓰기(성음법)와 붙여쓰기(부서법)

훈민정음의 위대한 점은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에도 있지만, 문자의 운용법으로 문자를 확장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문자 체계의 혁신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혼란스럽고 체계적이지 않은 모양을 가진 국제적인 발음기호를 대체하여 문자 자체가 발음기호와 일치하는 디지털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뛰어난 문자임을 세계인이 인정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은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입니다. 나란히 쓰기(병서법), 이어쓰기(연서법), 종성법, 모아쓰기(성음법), 붙여쓰기(부서법), 사성법 이번 포스팅은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중에서 저번에 포스팅한 종성법과 더불어, 영어처럼 음소문자이면서도 음절문자로 기능할 수 있게 만든 원리인 모아쓰기(성음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

한글 사랑 2024.11.17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 종성법(현대 국어와 비교를 통한)

소리는 바로 사라집니다. 문자가 없던 시절에는 사건이나 지식 등을 사람의 기억만으로 후대에 전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런 불편함 때문에 문자가 만들어졌습니다. 한자처럼 뜻을 드로내는 표의 문자나 히라가나나 영어의 알파벳처럼 소리를 적는 표음문자도 있습니다. 세상에는 많은 표음 문자가 존재하지만, 우리 한글은 음소문자이면서도 음절문자로 기능할 수 있어 어떤 문자 체계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입니다. 자음과 모음의 각각의 음소를 하나의 음절로 적을 수 있는 것은 종성의 성격을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을 표기하는 문자 운용법을 만드었다는 것입니다.이번 포스팅은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중에서 음소를 음절문자로 기능할 수 있도록 만든 종성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대 국어의 발음과 표기의 관..

한글 사랑 2024.11.16

훈민정음의 문자 운용법 – 연서법과 순경음 비읍(ㅸ)

세종대왕께서 과학적 원리로 문자를 새롭게 만든 것은 대단한 일이지만, 또 다른 훈민정음의 위대함이 있습니다. 만든 문자를 확장하고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세밀하고 창의적으로 문자의 운용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니 세종대왕은 참으로 훌륭하고 대단하신 분이라 생각합니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록된 문자 운용법나란히 쓰기(竝書法 병서법), 이어쓰기(連書法 연서법), 종성법(終聲法), 붙여 쓰기(附書法 부서법), 성음법(成音法), 사성법(四聲法)새롭게 만든 28자의 문자를 조합하여 문자를 확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자음과 모음의 발음 순서를 표현하기 좋은, 가로로 나란히 어울러서 쓰는 병서법(竝書法)입니다. 그러면 세로로 이어서 쓰는 ‘연서법(連書法)은 무엇인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 운용법’ 중에서..

한글 사랑 2024.11.15

훈민정음의 모음 창제 원리와 음양 사상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위하여 중국 음운학 이론서를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하지만 초성과 종성이 같은 자음을 쓸 수 있다는 점을 깊게 인식하고, 초성, 중성, 종성으로 세분하고, 중성을 중심에 두고 앞 뒤에 초성과 종성을 배치하여 하나의 음절을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음소 문자이면서도 음절 문자인 새로운 경지이며, 과학적일 뿐만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의도적인 문자의 혁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훈민정음에서, 음절의 중심이 되는 '모음의 창제 원리'와 '모음에 적용된 음양 사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훈민정음의 자음 창제 원리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훈민정음의 자음 창제 원리와 음양오행 ※ 창제한 모음 11자를 조합하여 '합용병서로 확장한 다른..

한글 사랑 2024.11.14

훈민정음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병서법)

세종대왕께서 기본 글자 28자(자음 17+모음 11)를 과학적 원리로 새롭게 만든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그러나 또 다른 훈민정음의 위대함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 문자를 이용한 문자의 확장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록된 문자 운영 방법은, 음소 문자로서 인류의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가 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훈민정음의 다양한 ‘문자 운용법’ 중에서 새롭게 창제한 자음과 모음의 기본 글자를 조합하여 우리말 소리의 표기를 확장하는 '나란히쓰기(병서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竝書法  병서법 ), 이어쓰기(連書法 연서법), 종성법, 붙여 쓰기(附書法 부서법), 성음법, 사성법  1. 나란히 쓰기..

한글 사랑 2024.11.13

훈민정음의 자음 창제 원리와 음양오행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위하여 중국 한자음 발음을 분석한 음운학 이론서인 ‘홍무정운’을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하지만 음절을 '성과 운' 두 가지로 분석한 중국과 달리, 우리 말소리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으로 세종대왕께서는 초성, 중성, 종성으로 세분하고, 자음과 모음을 28글자를 만들고 다양한 운용 방식으로 음소 문자의 신경지를 개척함으로써 인류의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종대왕께서 만든 28글자의 자음과 모음 중, 자음 17글자의 창제 원리와 자음에 적용된 음양오행 사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훈민정음의 모음 창제 원리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훈민정음의 모음 창제 원리와 음양 사상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위하여 중국 음운학 이론..

한글 사랑 2024.11.12

한글의 음절 표기 방식의 가치 - 초성 중성 종성을 모아쓰기해서 음절로 표기

한글은 다른 문자와 비교할 수 없는 우수한 점이 많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성과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하나의 음절로 표기(성음법)할 수 있는 장점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는 과학적이면서도 독창적이고, 미적으로도 뛰어난 장점 중의 하나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음절과 음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1. 음절과 음운1) 음절(音節)① 개념음절은 일반적으로 모음과 그 주위의 자음으로 이루어져서 한 덩어리로 발음이 가능한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음절의 영어 단어는 ‘syllable’입니다. 어원인 라틴어 ‘syllaba’에서 유래하며, ‘함께 모으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자음과 모음(음운)을 함께 모아서(결합하여) 이루어진 소리가 ‘음절(syllable)’이라는 뜻입니다. ②..

한글 사랑 2024.11.11

한글 모음 순서의 유래와 명칭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이것은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의 한글 기본 모음의 순서와 명칭입니다. 이러한 순서와 명칭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요? 훈민정음을 만든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을까요? 아닙니다. 한글 모음의 순서는 조선 중기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1527)라는 책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한글 모음의 순서와 명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한글 자음 순서와 명칭의 유래'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한글 자음 순서와 명칭의 유래1. 오늘날 한글 모음1) 모음의 수(총 21자)① 기본 모음(총 10자)모음 발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글자의 모양을 서로 다르게 만든 한글 모음 문자입..

한글 사랑 2024.11.10

한글 자음 순서와 명칭의 유래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등 한글 자음의 순서와 명칭은 언제, 누가 만들었을까요? 조선 초기에 훈민정음을 반포한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을까요? 아닙니다. 한글 자음의 순서와 명칭은 조선 중기에 최세진이 만든 (1527)라는 책에서 비롯되었어요. 의외의 답변이지요! 그래서 지금부터 한글 자음의 순서와 명칭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해요. 참고로 '한글 모음 순서의 유래와 명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한글 모음 순서의 유래와 명칭 1. 오늘날의 한글 자음1) 자음의 수(총 19자) ① 기본 자음 14자서로 모양을 다르게 만들어 발음을 표기하는 자음입니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만든 자음 17자 중,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자음은 14자입니다. 기..

한글 사랑 2024.11.09

다양한 용지와 봉투의 규격과 용도

편집 용지나 인쇄 용지 종류의 용어는 한글이나 MS워드와 같은 워드 프로세스를 사용할 때에 많이 보지만, 익숙하게 아는 용지도 있고 생소한 용지도 있습니다. 그리고 시중에 출판된 책이나 신문 등의 용지 규격도 눈여겨 보지 않기에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오늘은 문서나 신문, 노트나 도화지, 책 등에서 사용하는 용지의 규격과 용도와 함께 봉투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리들이 잘 쓰지 않는 생소한 용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 단위 환산 → 1 inch = 2.54 cm ) ¶ 용지1. ANSI 시리즈1) 개념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의 약자로 ‘미국 국가 표준 협회’를 의미합니다. 미국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종이 크기로서 주로 비즈니스 및 기술 문서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