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병서 2

학부모 한글공부 시리즈4 – 각자병서로 만든 한글 복합 자음 ‘된소리’ 5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자병서의 방법으로 조합하여, 단일한 음가를 지닌 된소리 음운을 표기하는 복합 자음 5자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병서(나란히 쓰기)법과 복합 자음음운을 표기하는 문자를 만들 때, 새롭게 만들 수도 있지만 문자의 종류가 많아져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동일한 자질을 기준으로 이미 만들어진 기본 글자를 조합하여 음운을 표기할 수 있다면 간단하고 효율적이겠지요. 이런 방법 중 하나가 병서(나란히 쓰기)법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문자를 복합 자음 혹은 복합 모음이라고 합니다. 병서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각자병서(各自並書) – 자음에만 적용되며, ‘예사소리’인 동일한 기본 자음을 나란히 적어 단일한 소리인 ‘된소리’ 음운 표기방법합용병서(合用竝書) – 서로 다른 자음이나 모음을 나..

한글공부 10:02:46

훈민정음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병서법)

세종대왕께서 기본 글자 28자(자음 17+모음 11)를 과학적 원리로 새롭게 만든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그러나 또 다른 훈민정음의 위대함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 문자를 이용한 문자의 확장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기록된 문자 운영 방법은, 음소 문자로서 인류의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가 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훈민정음의 다양한 ‘문자 운용법’ 중에서 새롭게 창제한 자음과 모음의 기본 글자를 조합하여 우리말 소리의 표기를 확장하는 '나란히쓰기(병서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문자 운용법 – 나란히 쓰기(竝書法  병서법 ), 이어쓰기(連書法 연서법), 종성법, 붙여 쓰기(附書法 부서법), 성음법, 사성법  1. 나란히 쓰기..

한글 사랑 2024.11.13